맨위로가기

안나 십코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나 십코바는 러시아의 은퇴한 에페 펜싱 선수이다. 10세에 펜싱을 시작하여 1997년 카데트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고, 2000년 유럽 주니어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2001년 시니어 국가대표팀에 합류하여 2001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2004년 아테네 올림픽 단체전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2008년, 2012년 올림픽에도 출전했으나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여자 펜싱 선수 - 마르타 마르티야노바
    마르타 마르티야노바는 러시아 청소년 국가대표 펜싱 지도자인 예브게니 롬테프와 2021년 8월에 결혼했다.
  • 러시아의 여자 펜싱 선수 - 옥사나 예르마코바
  • 러시아의 유니버시아드 은메달리스트 - 마디나 타이마조바
    러시아 유도 선수 마디나 타이마조바는 2020년 도쿄 올림픽과 2024년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했으나, 푸틴 대통령 지지 등 친정부 행보로 인해 2024년 파리 올림픽 출전이 금지되었다.
  • 러시아의 유니버시아드 은메달리스트 - 이리나 슬루츠카야
    러시아의 전 피겨 스케이팅 선수인 이리나 슬루츠카야는 유럽 선수권 7회 우승, 올림픽 메달 획득, 세계 선수권 우승 등 뛰어난 업적을 남겼으며 은퇴 후에는 방송, 아이스쇼 출연과 정치인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 러시아의 올림픽 펜싱 참가 선수 - 마르타 마르티야노바
    마르타 마르티야노바는 러시아 청소년 국가대표 펜싱 지도자인 예브게니 롬테프와 2021년 8월에 결혼했다.
  • 러시아의 올림픽 펜싱 참가 선수 - 옥사나 예르마코바
안나 십코바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Sivkova v Luo Fencing WCH EFS-IN t141108.jpg
2013년 세계 펜싱 선수권 대회에서
본명안나 비탈리예브나 시브코바
로마자 표기Anna Vitalyevna Sivkova
별칭아냐
1.72m
몸무게59kg
출생일1982년 4월 12일
출생지소련, 모스크바
거주지모스크바
국적러시아
종목펜싱
주무기에페
사용 손오른손
소속 클럽CSKA 모스크바
국가대표 코치알렉산드르 글라주노프
FIE 랭킹현재 랭킹
최고 랭킹1위
올림픽
2004 아테네단체 에페 금메달
세계 펜싱 선수권 대회
2001 님단체 에페 금메달
2003 아바나단체 에페 금메달
2013 부다페스트단체 에페 금메달
2007 상트페테르부르크단체 에페 은메달
2013 부다페스트개인 에페 은메달
유럽 펜싱 선수권 대회
2012 레냐노단체 에페 금메달
2001 코블렌츠단체 에페 은메달
2004 코펜하겐개인 에페 은메달
2009 플로브디프개인 에페 은메달
2011 셰필드단체 에페 은메달
2008 키예프개인 에페 동메달

2. 선수 경력

십코바는 10세의 나이에 펜싱 코치를 알고 있는 가족 친구의 권유로 펜싱을 시작했다.[2] 그녀는 모스크바 보리소프 연못 근처 SDUShOR(스포츠 학교) No.7에서 이 스포츠를 시작하여, 류드밀라 비아조바의 지도하에 처음으로 플뢰레를 연습했다. 1년 후 비아조바는 에페로 종목을 바꿨고, 십코바도 따라갔다. 그녀는 클럽에서 유일한 여자였지만, 남자들을 상대로 이기는 것이 그녀에게 동기를 부여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2년 동안 훈련을 받은 후 그녀는 힘든 규율에 분개하기 시작하여 잠시 떠났지만,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펜싱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닫고 다시 돌아왔다.[2]

십코바는 1997년 테네리페에서 열린 카데트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다.[2] 1998년 세계 청소년 경기 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하면서 그녀는 챔피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2] 그 후 1999년 케스텔리에서 열린 주니어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을, 2000년 안탈리아에서 열린 주니어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2001년 시니어 국가대표팀에 합류했다. 러시아 대표팀으로서의 첫 번째 대회는 코블렌츠에서 열린 유럽 선수권 대회였으며, 여기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그들은 님에서 열린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그녀는 2003년 프라하에서 금메달을, 타우버비쇼프스하임과 하바나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펜싱 월드컵에서 처음으로 시상대에 올랐다. 또한 하바나에서 열린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8강에 진출했다.

2004년 하계 올림픽 아테네는 그녀의 첫 올림픽 경험이었다. 개인전에서는 1라운드에서 올림픽 챔피언 티메아 나지에게 패했다. 단체전에서 러시아는 8강에서 대한민국을, 준결승에서 캐나다를 이겼다. 십코바는 준결승전에서의 부진한 경기력으로 인해 당시 수석 코치 알렉산드르 키슬류닌이 그녀를 독일과의 결승전에서 예비 선수로 남겨두었고, 그녀는 이를 개인적인 타격으로 받아들였다.[2] 러시아는 결국 독일을 34-28로 꺾었고, 십코바는 올림픽 단체전 챔피언이 될 수 있었다.

그 후 2년 동안 십코바에게는 더 어려웠다. 2008년 하계 올림픽 프로그램에 단체 에페가 포함되지 않아, 그녀는 출전 자격을 얻기 위해 8위 안에 들어야 했지만, 월드컵 결과가 충분하지 않았다. 동료 타티아나 로구노바가 출전 자격을 얻은 후, 십코바는 베이징에 가기 위해 유럽 3위 안에 들어야 했다. 상트페테르부르크 월드컵, 즉 마지막 예선 토너먼트에서 십코바는 루마니아의 아나 마리아 브런저에게 패했고, 브런저는 금메달과 유럽 올림픽 티켓 3개 중 하나를 획득했다. 코치 알렉산드르 키슬류닌은 류보프 슈토바가 출전 자격을 얻을 가능성이 더 높다고 판단하여 십코바를 플로리나에서 열린 마지막 예선 토너먼트에 보내지 않기로 결정했다.[3]

런던 올림픽에서 십코바는 32강에서 한국의 정효정을 꺾었지만, 다음 라운드에서 루마니아의 안카 머로이우에게 패했다. 단체전에서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이기고, 준결승에서 중국과 만났다. 십코바는 중국이 앞선 상황에서 마지막 릴레이에 출전했다. 그녀는 동점을 만들었지만 연장전에서 한 번의 터치로 패했고, 러시아는 메달 없이 돌아갔다. 이러한 실패로 깊이 낙담한 십코바는 휴식을 취했고, 2013년 1월이 되어서야 훈련을 재개했다.[4]

2. 1. 초기 경력

안나 십코바는 10세에 가족 친구의 권유로 펜싱을 시작했다.[2] 모스크바 보리소프 연못 근처 SDUShOR(스포츠 학교) No.7에서 류드밀라 비아조바의 지도를 받아 플뢰레를 연습했다.[2] 1년 후 에페로 종목을 변경했고, 클럽에서 유일한 여자 선수였지만 남자 선수들을 상대로 이기는 것에서 동기 부여를 받았다.[2] 훈련의 어려움으로 잠시 펜싱을 떠났지만,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다시 돌아왔다.[2]

1997년 테네리페에서 열린 카데트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다.[2] 1998년 세계 청소년 경기 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하면서 챔피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2] 그 후 1999년 케스텔리에서 열린 주니어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을, 2000년 안탈리아에서 열린 주니어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2001년 시니어 국가대표팀에 합류하여, 코블렌츠에서 열린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2] 같은 해 님에서 열린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2003년에는 프라하에서 금메달, 타우버비쇼프스하임과 하바나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펜싱 월드컵에서 처음으로 시상대에 올랐다. 하바나에서 열린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8강에 진출했다.

2. 2. 주니어 경력

십코바는 10세에 펜싱 코치를 알고 있는 가족 친구의 권유로 펜싱을 시작했다.[2] 모스크바 보리소프 연못 근처 SDUShOR(스포츠 학교) No.7에서 류드밀라 비아조바의 지도하에 플뢰레를 연습하다 1년 후 에페로 종목을 변경했다.[2]

1997년 테네리페에서 열린 카데트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고,[2] 1998년 세계 청소년 경기 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2] 1999년 케스텔리에서 열린 주니어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 2000년 안탈리아에서 열린 주니어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2. 3. 시니어 경력

안나 십코바는 2001년 시니어 국가대표팀에 합류했다.[2] 러시아 대표팀으로서 첫 대회는 코블렌츠에서 열린 유럽 선수권 대회였으며, 단체전 은메달을 획득했다.[2] 같은 해 님에서 열린 세계 선수권 대회 단체전에서는 금메달을 획득했다.[2] 2003년 하바나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8강에 진출했다. 2003년 펜싱 월드컵에서는 프라하에서 금메달, 타우버비쇼프스하임과 하바나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처음으로 시상대에 올랐다. 이러한 결과로 세계 랭킹 6위에 올랐다.

2. 4. 올림픽 경력

2004년 하계 올림픽 아테네는 그녀의 첫 올림픽 경험이었다. 개인전에서는 1라운드에서 올림픽 챔피언 티메아 나지에게 패했다.[2] 단체전에서 러시아는 8강에서 대한민국을, 준결승에서 캐나다를 이겼다. 십코바는 준결승전에서의 부진한 경기력으로 인해 당시 수석 코치 알렉산드르 키슬류닌이 그녀를 독일과의 결승전에서 예비 선수로 남겨두었고, 그녀는 이를 개인적인 타격으로 받아들였다.[2] 러시아는 결국 독일을 34-28로 꺾었고, 십코바는 올림픽 단체전 챔피언이 될 수 있었다.

2008년 하계 올림픽 프로그램에는 여자 단체 에페 종목이 없었기 때문에, 십코바는 개인전 출전 자격을 얻기 위해 세계 랭킹 8위 안에 들어야 했다. 그러나 월드컵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내지 못했다.[3] 동료 선수인 타티아나 로구노바가 이미 올림픽 출전 자격을 얻은 상황에서, 십코바는 유럽 선수 중 상위 3위 안에 들어야만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 출전할 수 있었다. 마지막 올림픽 예선 대회였던 상트페테르부르크 월드컵에서 십코바는 루마니아의 아나 마리아 브런저에게 패배했고, 결국 브런저가 이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유럽에 할당된 올림픽 출전권 3장 중 하나를 가져갔다. 러시아 대표팀 코치 알렉산드르 키슬류닌은 류보프 슈토바가 올림픽 출전 자격을 얻을 가능성이 더 높다고 판단하여 십코바를 플로리나에서 열린 마지막 예선 대회에 보내지 않았다.[3]

런던 올림픽에서 십코바는 여자 에페 개인전 32강에서 한국의 정효정을 꺾었지만, 다음 라운드에서 루마니아의 안카 머로이우에게 패했다.[4] 여자 에페 단체전에서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이기고 준결승에서 중국과 만났다. 십코바는 중국이 앞선 상황에서 마지막 릴레이에 출전했다. 그녀는 동점을 만들었지만 연장전에서 한 번의 터치로 패했고, 러시아는 메달 없이 돌아갔다.[4] 이러한 실패는 십코바에게 큰 좌절감을 안겨주었다.

2. 4. 1. 2004년 아테네 올림픽

2004년 하계 올림픽 아테네는 그녀의 첫 올림픽 경험이었다. 개인전에서는 1라운드에서 올림픽 챔피언 티메아 나지에게 패했다.[2] 단체전에서 러시아는 8강에서 대한민국을, 준결승에서 캐나다를 이겼다. 십코바는 준결승전에서의 부진한 경기력으로 인해 당시 수석 코치 알렉산드르 키슬류닌이 그녀를 독일과의 결승전에서 예비 선수로 남겨두었고, 그녀는 이를 개인적인 타격으로 받아들였다.[2] 러시아는 결국 독일을 34-28로 꺾었고, 십코바는 올림픽 단체전 챔피언이 될 수 있었다.

2. 4. 2. 2008년 베이징 올림픽

2008년 하계 올림픽 프로그램에는 여자 단체 에페 종목이 없었기 때문에, 십코바는 개인전 출전 자격을 얻기 위해 세계 랭킹 8위 안에 들어야 했다. 그러나 월드컵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내지 못했다.[3] 동료 선수인 타티아나 로구노바가 이미 올림픽 출전 자격을 얻은 상황에서, 십코바는 유럽 선수 중 상위 3위 안에 들어야만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 출전할 수 있었다. 마지막 올림픽 예선 대회였던 상트페테르부르크 월드컵에서 십코바는 루마니아의 아나 마리아 브런저에게 패배했고, 결국 브런저가 이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유럽에 할당된 올림픽 출전권 3장 중 하나를 가져갔다. 러시아 대표팀 코치 알렉산드르 키슬류닌은 류보프 슈토바가 올림픽 출전 자격을 얻을 가능성이 더 높다고 판단하여 십코바를 플로리나에서 열린 마지막 예선 대회에 보내지 않았다.[3]

2. 4. 3. 2012년 런던 올림픽

런던 올림픽에서 십코바는 여자 에페 개인전 32강에서 한국의 정효정을 꺾었지만, 다음 라운드에서 루마니아의 안카 머로이우에게 패했다.[4] 여자 에페 단체전에서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이기고 준결승에서 중국과 만났다. 십코바는 중국이 앞선 상황에서 마지막 릴레이에 출전했다. 그녀는 동점을 만들었지만 연장전에서 한 번의 터치로 패했고, 러시아는 메달 없이 돌아갔다.[4] 이러한 실패는 십코바에게 큰 좌절감을 안겨주었다.

참조

[1] 웹사이트 Olympics Statistics: Anna Sivkova http://www.databaseo[...] 2012-06-06
[2] 웹사이트 ru:Анна Сивкова: "В любой ситуации нужно вести себя достойно" http://www.fencingfu[...]
[3] 웹사이트 ru:На этапе Кубка мира по фехтованию в Греции шпажистка Любовь Шутова получит последний шанс завоевать олимпийскую лицензию http://www.allsporti[...] www.allsportinfo.ru 2008-03-14
[4] 웹사이트 ru:Сивкова: был момент, когда засомневалась в победе http://www.championa[...] 2013-04-23
[5] 웹인용 Olympics Statistics: Anna Sivkova http://www.databaseo[...] 2012-06-06
[6] 웹인용 Anna Sivkova Olympic Results http://www.sports-re[...] 2012-06-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